|
당량점 10.78
6. 결론 및 논의
[실험에 대한 결론]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식초의 몰수와 식초의 순도를 구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된 점]
실험 a와 b를 통해서 실험 a처럼 지시약을 통해 용액의 색깔변화를 계속 관찰하면서 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화반응의 당량점에서는 첨가된 염기의 화학량은 원래 존재하는 산의 화학량과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N V = N\' V\'
(N → 산의 농도, V → 산의 부피, N\', V\'는 농도가 N인 산 V㎖를 중화하는데 소비된 염기의 농도, 부피)
따라서 HCl의 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응하기 때문이다. 식초의 몰수를 아세트산 몰질량에 곱하면 순수한 아세트산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이 값을 처음에 구한 식초의 무게로 나눈 뒤 100을 곱하면 식초의 순도를 구할 수 있었다.
우리 조의 결과는 1회 때 6.03%, 2회 때 6.08%로 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량점에서는 A-와 B+가 안정하게 존재하여 pH는 7이 된다.
반면 약산과 강염기를 적정하면 당량점에서 용액은 정확히 중화되기 때문에 산에 의한 H+ 이온과 염기에 의한 OH- 이온은 강산과 강염기의 적정반응과 마찬가지로 더 이상 용액 중에 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9.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화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용액의 농도를 모르는 미지시료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 열화상카메라를 쓸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응열로 인한 온도가 최대가 되는 점이 당량점이 될 수 있다. 일반 지시약을 사용하면 당량점이 아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