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3.5
상용근로자기준
지 수
128.8
144.0
168.4
185.0
192.4
증가율
14.8
11.8
17.0
9.8
4.0
부가가치노동생산성
(전체근로자 기준)
지 수
126.5
141.6
156.6
169.1
174.6
증가율
14.6
12.0
10.6
8.3
3.2
Ⅶ.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3/4분기 광공업(전기가스 및 수도업 포함)부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산
1. 수급 동향과 전망
○ 세계 사료곡물 생산량은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재배면적이 증대되고 단수가 증대하였기 때문이다. 사료곡물 생산량은 8억 9,050만 톤으로 8억 8,330만 톤보다 0.8%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산성
광공업(전기가스 및 수도업 포함)부문의 상용근로자기준 노동생산성지수는 107.7(2000=100.0)로 전년대비 8.1% 증가하였다. 이는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돌아서고, 소비와 수출증가율이 전년에 비해 호조를 보임으로써 산출량(산업생산)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중형 국유기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위와 같은 오류를 수정할 경우 이 기간 동안 국유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거의 0%였다고 결론 내렸다(Woo et al., 1994b, pp.412-413, 419-421, 428). 이에 대해 Jefferson et al.(1996)은 1980년대에 중간재 가격이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산이나 총생산 변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 충격의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 산업의 전.후방 효과를 통하여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부문생산을 집합(aggregation)해 놓은 총생산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부문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