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소개
작품
1) 가는 길
2) 진달래꽃
3) 접동새
4) 초혼
5)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설 대일 땅이 있었더면
6) 먼 후일
7) 금잔디
8) 산유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초혼은 1920년대 김소월이 습작기를 지나 스스로의 독자적 시세계를 구축한 이후 창작된 작품이다. 지금까지 애송되는 소월의 초기시가 대부분 수많은 개작과정을 거쳤음에 반해 초혼은 소월 전기 시를 총결산한 시집 진달래꽃에 완성된 형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숨에의 의지가 표출되고 있다. 즉 이러한 나아감은 극한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꿈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리라’는 시적 자아의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혜니, 앞의 책, p.134.
이렇게 볼 때 이 시에는 소월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초혼>
4. 김소월 시의 평가
5.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1. 김소월의 생애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이며, 소월은 그의 호를 지칭한다. 그는 1902년 8월 6일 평안북도 구성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공주이다. 그가 2살이 되었을 때 부친이 정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달래꽃」, 혜원출판사, 2000
김윤식 김우종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
김현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엄호석, 「김소월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8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