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열의 마법
실사
까르프/ 월마트/ 이마트
같은 점
다른 점, 특이한 점- 그 이유
사회문화적 특성(프랑스 vs 미국 vs 한국 -> 소비자/시장 측면)
소매업태의 특성(일반 소매점 vs 할인점 -> 비용측면:종업원,시설물)
매장의 특성(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볼 수 있도록 매대의 높이를 기존 20cm에서 40cm로 높였다. 이마트의 경우에는 기존의 매대 진열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홈플러스의 경우 신선식품 매출이 전년 대비 10% 가까이 증가하였다.
2. 편의점의 제품진열 사례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열 방법도 일반화 됐다. 일반적으로 고객들의 시선이 좌우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감안, 상품 종류와 브랜드가 많은 소스 류의 경우 동일 상품끼리 묶어서 수직 형태로 진열한다. 이마트 에서는 이미 매장 대부분에 PL상품을 보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마트는 초창기의 창고식 대형 할인마트 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고급스러운 분위기, 고객의 편익을 위한 인테리어를 꾸미는데 집중 하였다. 초창기 할인마트들은 높이 쌓아둔 진열대와 잘 꾸미지 않고 마감을 하지 않은 인테리어의 모습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닿도록 쌓아놓고 있었지만, 이마트의 경우 상품 진열대의 높이를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1.5m정도로 지정 하자 다른 업체들도 앞다투어 진열대 높이와 배열을 개선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또한 상품 판매에 있어서도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식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