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력이라 한다.
4) D : 극한강도
항복점을 지나면 경화현상이 일어나면서 다시 하중을 증가시켜야 변형이 증가하고 어느 일정한 하중이 지나면 시편에 국부적 수축현상(Neaking)이 나타나며 하중은 감소하며 변형은 증가되어 파단되어진다. 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 강의 응력-변형율 선도
A~B 탄성변화구간
C~E 항복구간
E~F 변형경화구간
F~G 네킹구간
B 비례한도
C 상항복점 = 탄성한도
D 하항복점 = 항복응력, 항복강도
F 극한응력 = 극한강도
G` 진응력 = P/줄어든단면적
G 공칭응력 = P/최초단면적
① AB : 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다.
결론
일상에서 쉽게 보이는 물체들 조차도 제각각의 재료들로 만들어지고 그 재료들 또한 다른 특성들을 띄고 있는데, 그런 특성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응력-변형률 선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어떤 재료를 다룰 때 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따른다.
이 방정식은 유동곡선이라고 불리며, K는 강도계수 n은 변형경화지수이다.
④ 인장강도 : 가해진 하중 F가 최대치에 다다르게 될 때의 점에서 계산한 공칭응력 값을 말한다. 최대 인장강도라고도 부른다.
⑤ 네킹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시된 두표점 간의 거리로, 연신율 측정의 기준이 되는 거리를 말한다.
(7) 공칭응력 (Engineering stress, σ)
시험편에 가한 하중을 초기 단면적으로 나눈 값 σ=P/A 로서 나타낸다.
(8) 진응력 (True Stress, σ)
시편에 하중을 가하기 시작하면 길이가 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