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원수
◎ 차원해석과 무차원수의 필요성
◎ 무차원수의 종류
1. 마하수 [Mach]
2. 레이놀즈 수 [Reynolds number]
3. 관성파라미터 [Inertial parameter]
4. 네퍼 [Neper]
5. 레일리수 [Rayleigh number]
6. 비중 [Specific gravity]
7. 누셀트수 [Nusselt number]
8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5.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쓸 수 있다.
v/h = B(g/h)
여기서, B는 적절한 함수이다. 방금 한 것과 같은 똑같은 방법을 사용 하면, gh/(v2) = 무차원상수의 형태로 시스템이 기술되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무차원수
2. 무차원식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元數)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무차원수는 직사각형의 가로·세로 길이의 비(比)이다. 일반적으로 비는 무차원수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레이놀즈수(Reynolds數)이다. 레이놀즈수는 속도 (m/s)와 길이의 곱을 운동점성계수 (m²/s)로 나눈 것으로 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k }
= Nu(Nusselt수)
3)
{c v } over {k }= {hd } over {k }
= Pr(Prandtl수)
4)
{g {d }^{3 } } over { {v }^{2 } }
= Gr(Grashof수)
5)
이 차원식으로 나타낸 것을 조합해 단위를 없앤 무차원수로 나타낸다.
무차원수는 5가지 조합된 식으로 나타낼수 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E}_{v } } }
=
{ 유동장의 속도} over {음속 }
유체의 유속이 음속 차원이거나 이보다 클 때, 유동장은 Re수 만으로 나타낼 수 없고 Ma수 즉, 음속에 대한
유동장의 속도의 비가 고려된다. Ma는
( { C}_{a } )^{ { 1} over {2 } }
과 같다. 일반적으로 Ma가 0.3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