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발반응 검사)
3. I.A(Immitance audiometry : 임피던스 청력검사)
4. ABR(Auditory brainstem response :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5. Rinne test
6. Weber test
7. 이음향방사검사(Otoacoustic emission test)
8. 전기 와우도 검사(Electrochchleography : ECoG)
9. 전정유발근전위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응하는 것으로, 자극음의 지속시간과 일치하여 계속 나타나는 복합적 반응이고, AP는 와우 기저부의 청신경 반응을 보는 것인데,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맞게, 해부학적으로도 일치하게 검사결과가 나온 걸 확인 할 수 있었다. 강도별의 파형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발. 정맥순환장애, 골내 정맥압 증가, 증가된 혈액의 점성도로 인한 혈행감소등이 혈관계 장애 원인
10. Knee joint
1) 전십자인대 손상(ACL)
슬관절의 과신전과 경골 내회선 시 많이 손상
2) 후십자인대 손상(PCL)
경골의 후방전위나 슬관절 굴곡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발전위 검사는 말초 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부위에 따라 상지에는 정중신경(median nerve), 척골 신경(ulnar nerve) 등이 있으며, 하지에는 경골 신경(tibial nerve), 비골 신경(Fibula nerve), 비복신경(sulal nerve) 의 자극을 가하여 감각 신경 경로의 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않아야 함을 알려 줌
- 검사 후 진정제 효과가 사라지기 전에 침상난간을 올려주는 등 대책을 마련해줌
6. 유발전위검사
ⅰ. 목적
: 유발전위 파형이 제대로 잘 나타나는지, 또한 나타났다 하더라도 자극 후 그 뇌파반응이 최고점까지 도달하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