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급효 부정설. 한시법
Ⅰ.한시법의 개념문제
1.광의의 한시법
2.협의의 한시법
3.한시법개념불요설
*한시법의 추급효
Ⅱ.한시법의 효력
1.추급효인정설
2.동기설(판례)
3.추급효부정설
4.검토
*형법 제1조를 어떻게 볼 것인가?
Ⅲ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급효 인정설에 대해서는 추급효인정설에 대하여 형법 제1조제1항의 예외적인 규정인 동조제2항의 취지를 전반적으로 부정하는 결과가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형벌불소급의 원칙에 기반하여 추급효를 부정하여야 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급효
1) 추급효인정설
2) 추급효부정설
3) 동기설
(3) 백지형법과 보충규범(고시)의 변경·폐지
1) 백지형법의 의의
2) 보충규범의 개폐와 법률의 변경
3) 보충규범의 개페와 한시법
2. 동기설에 입각한 판례정리
(1) 사실관계 변경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급효
1)서설
①추급효부정설(다수설)
②추급효인정설
③동기설(우리판례의 태도,이재상, 독일의 통설)
④소결
(3)한시법과 추급효에 관한 판례(동기설)
1)사실관계의 변화 때문에 형이 폐지된 경우로 본 사례
2)법률이념의 변경으로 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약하다는 점에서 피고인에 대한 처벌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다. 1. 사실관계
2. 판시사항
3. 판결요지
4. 원심판결 VS 대법원판결
1)원심판결
2)대법원판결
3)비교분석
5. 학설
1) 추급효인정설
2) 부정설
3) 동기설
6. 사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