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충규범의 개폐도 형법 제 1 조 2항의 법률의 변경에 해당한다는 견해이다.
) 김일수/서보학 50면; 박상기 46면; 배종대 102면; 손해목 83면; 신동운 56면; 오영근 82면; 이형국 87면; 임웅 56면; 정성근/박광민 51면; 차용석 137면
한시법의 추급효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제1조 2, 3항을 거의 무의미하게 만드는 결과가 된다. Ⅰ 사건의 개요
Ⅱ 쟁점사항
1. 한시법과 백지형법의 관계
(1) 한시법의 의의
(2) 한시법의 추급효
1) 추급효인정설
2) 추급효부정설
3) 동기설
(3) 백지형법과 보충규범(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시법과 추급효에 관한 판례(동기설)
1)사실관계의 변화 때문에 형이 폐지된 경우로 본 사례
2)법률이념의 변경으로 인하여 형이 폐지된 경우로 본 사례
(3)백지형법과 보충규범의 변경· 폐지
1)백지형법의 의의
2)보충규범의 개폐와 법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별)
①보충규범의 개폐가 법률의 변경에 해당하는가의 문제와 ②이에 해당하면 한시법으로서의 추급효를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를 구분.
①의 문제 긍정설. ②의 문제는 일시적 사정에 대처하기 위한 경우에는 추급효 인정.
(3)절충설(임웅, 56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백지형법의 보충규범개폐는 형법 제1조 2항에 따라 가벼운 신법을 적용해야 한다(행위시법주의에 대한 예외).
b) 보충규범의 개폐와 추급효
백지형법의 보충규범의 대부분도 일시적 사정에 대처하기 위한 한시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