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0건

춘망, 산중문답 春望 (춘망)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나라가 망하니 산과 강물만 있고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성 안의 봄에는 풀과 나무만 깊어 있구나. 感時花淚(감시화천루) 시절을 애상히 여기니 꽃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恨別鳥驚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현악기의 한종류 - 이상은 (11) 과고인장 과고인장 - 맹호연 (12) 산중문답 산중문답 - 이백 (13) 추래 추래: 가을이오니 - 이하 (14) 월야 월야 달밤 - 두보 (15) 매탄옹 매탄옹 숯을 파는 노인 - 백거이 (16) 추석 추석 가을밤 - 두목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미로 시인의 넉넉한 마음씨가 잘 드러나 있다. 마지막 연의 '왜 사냐건 / 웃지요.' 라는 심경은 이백(李白)의 시 <산중문답(山中問答)>*의 둘째 구절 '笑而不答心自閑'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 시는 삶의 허무 의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합일되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중문답(山中問答)>*의 둘째 구절 '笑而不答心自閑'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 시는 삶의 허무 의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합일되어 무위의 상태에 다다른 시인의 인생관 내지 삶에 대한 태도를 함축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1930년대 중반 유행처럼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중문답』, 이병한 역주, 민음사, 1975. 이석호, 「이백 시 연구-도교적 특색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1. 이지운, 「이상은 칠언절구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5. 임형택, 「16세기 사림파의 미의식」, 『한국문학사의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