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atrophy): 세포의 크기 줄어듬 - 기능 부하 감소, 혈액공급 감소, 만성염증, 호르몬 자극 소실, 신경지배 상실, 노화, 압박 - 원이제거후 정상상태로 - 잔류소체 남길 수 있음
비대(hypertrophy): 구조단백과 소기관 증가로 세포 크기가 커짐 - 임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샘(주로 귀밑샘)이 단단하게 부어 올라 동통과 압통을 느끼게 되며, 붓기 시작한 후 1~3일째 최고조에 도달해서 3~7일 이내에 차차 가라앉는다. 합병증으로는 뇌수막염, 고환염, 부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자의 약 1/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샘(주로 귀밑샘)이 단단하게 부어 올라 동통과 압통을 느끼게 되며, 붓기 시작한 후 1~3일째 최고조에 도달해서 3~7일 이내에 차차 가라앉는다. 합병증으로는 뇌수막염, 고환염, 부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자의 약 1/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췌장에서 볼거리 병변은 좀 더 파괴적으로 나타나며 실질 및 지방괴사 그리고 백혈구의 침윤을 보인다. 고환에서도 비슷한 기전이 일어나며 정소에 있는 백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조직종창은 호중구 침윤, 초점성 출혈 및 미세경색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9.0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질환으로 침샘 중에서 특히 귀밑샘인 이하선을 침범한다.
24
rubella
풍진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귀 뒤, 목 뒤의 림프절 비대와 통증으로 시작되고 이어 얼굴과 몸에 발진(연분홍색의 홍반성 구진)이 나타난다.
[ru:bel]
25
pertussi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