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광수는 6·25전쟁중 납북되어 1950년 10월 25일 압록강 연변의 만포 인민병원에서 생을 마감 하였다.
지식인이란 많이 알고 있는 사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지식인이란 자기가 아는 것을 실천할 수 있어야만 진정한 의미의 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춘원 이광수의 친일행각
1939년 가야마 미쓰로로 창씨개명을 하였고, 2차 대전 말기 일제의 국민총동원 계획에 참여하여 1943년 12월 일본 유학생의 학병지원 권고강연에 나섰다. 또 조선 문인협회 회장과 내선일체의 실천을 위하여 일본정신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광수의 『친일파의 변』 비판을 중심으로, 한성사학 Vol.19, pp.3-40
이계형(1999), 이광수의 역사소설 연구, 경산대 석사논문
이정심(2002), 이광수의 종교사상: 그의 전기(傳記)에 나타난 종교사상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논문
최주한(2000), 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2.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춘원의 친일문학이 던지는 고통스런 의의는 바로 그 점에 있을 것이다. 이경훈, 이광수의 친일문학연구, 태학사, 1998, p356~357.
6. 맺 음 말
한국인과 그 역사에 깊은 정신적 상흔을 남긴 친일파 문제는 이제 개인적인 친일 행적을 파헤치는 현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광수와 그의 시대』 3, 한길사,1986. p.1003.
17)임헌영, 「이광수」, 『친일파 99인』, 돌베개,1993. p.29.
18)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1980. p.467.
19)김기진, 『사상계』 1958년 9월 p.234.
20)김기진, 『매일신보』, 1942년 1월 9일.
21)김동환, 『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