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레라균을 분리, 배양하여 확진하며, 면역혈청학적 시험, 박테리오파아지형별 등이 진단에 이용된다. 오염지역으로의 여행경력과 임상증상으로 추정진단하기도 한다. 콜레라 환자는 반드시 격리 치료해야 하며, 탈수정도를 파악하여 손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otulinum Toxin(볼툴리누스균)
④ Clostridium perfringens(welchii) Toxin(가스괴저병)
⑤ Vibrio cholera Toxin(콜레라균)
3.진균독
⑥ Claviceps Toxin(맥각균)
⑦ Ochratoxin(오크라톡신)
⑧ Patulin(파툴린)
⑨ Penicillic Acid(페니실린산)
⑩ Zearalenone(제아라레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콜레라균(Vivrio cholerae)의 연구
이 후 25년 동안 병원균의 대부분이 발견, 전염성 미생물의 치료에 큰 발전
미생물 분야에서 기초와 응용분야에서 모두 가속적인 진보를 이루었다. 1. Microorganisms as Cells
2. Molecular Processes in Cells
3. Growth, Mut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1.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콜레라균, 세균성 이질균 등 세균성병원체 진단제제 생산, 질병관리본부, 2008
웬디 G 웨이크맨, 장내 세균총을 건강하게 하기 위한 영양 전략, 한국양계연구소, 2009
이문순, 천연물배당체의 약효와 장내세균의 역할, 충북대학교엽연초연구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콜레라균 집락보다 약간 큰 황색 집락을 형성한다.
Vibrio hollisae
V. hollisae는 설사증 원인균으로 미국의 CDC연구자들에 의하여 보고된 해수 비브리오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설사증에서 분리된 예가 없다.
이 균은 다른 비브리오균과 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