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로 집에 돌아갔다.
門人言天累降於靜室。
문인들은 천진의 신선이 고요한 집에 자주 내려왔다고 말했다.
一旦與群俱去。
하루 아침에 여러 진인과 함께 모두 떠났다.
(出《仙傳拾遺》)
선전습유 출전 음은객 담의 왕가교 양통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0리에 장례하게 했다.
明年秋,有照聖觀道士朱太虛,因投龍至晉山,忽遇尹君在山中,太虛驚而問曰:
다음해 가을에 조성관 도사 주태허는 투룡이란 제사의식 때문에 진산에 가서 갑자기 윤군이 산 속에 있음을 만나니 크게 놀라 물었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의 정체성
7. 대중 정서의 문학적 구현 양상
1) 만요와 웃음의 성격
「유쾌한 시골영감」
「오빠는 풍각쟁이」
2) 신민요
「꽃을 잡고」
3) 트로트에 반영된 상실감과 초극 의지
4) 시대인식과 소극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8.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 옆으로 비켜서 공광이 들어가게 했다.
光旣入朝堂, 肯爲宣解免?(姦猾可知。)
광기입조당 즘긍위선해면 간활가지
공광이 이미 조당에 들어가니 어찌 포선을 위해 해결해주겠는가? (간교 교활함을 알수 있다.)
諸生復守闕上書, 爲宣訟。
제
|
- 페이지 72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17.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의 모서리에 심은 동백과 어울려 여름과 겨울의 대조를 이룬다. 즉 양인 오동나무와 음인 동백나무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해 음양의 조화를 꾀한 것이다. 봉황새는 오동나무가 아니면 둥지를 틀지 않고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를 않고 예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