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널링효과로 뛰어넘는다는 생각에 입각한 가모-콘든-거니의 이론에 의해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터널링 디바이스 및
자연현상에서의의 터널링
Report
과목: 재료현대물리
담당교수: 김남철 교수님
학번:
이름:
제출일: 4월 28일 -주사터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 벽을 뚫고 터널링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는 실험이 가능하고, 약 1 nA 정도의 터널링전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이 검침이 0.1 nm 정도 멀어진다면 위에서 보여준 지수함수 관계식에 의하여 전류는 0.1 nA 정도로 줄어들고, 0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끝에 원자 몇 개만 있게 한 탐침 (STM TIP) 을 원자 한 두개크기 정도의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고 양단간에 약간의 전압을 걸면 터널링 현상에 의한 전류가 발생한다. STM은 바로 이러한 도전성 팁과 샘플사이의 터널링 전류가 이들 사이의 거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터널링을 한다. 이러한 FN터널링은 유전체의 두꺼운 유전체와 충분히 높은 전기장이 중 요하다. 이 터널링으로 인한 전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εox : 산화물에 걸리는 전계
B : 전자의 유효질량과 장벽높이에 의존하는 상수
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은 양자역학적 터널링 전류는 거리에 아주 민감하여 탐침이 표면에서 원자의 지름만큼만 멀어지더라도 1000배 정도 감소한다.
탐침의 끝을 표면을 따라 이리 저리 옮겨가면서 시료표면에 있는 원자의 배열상태를 측정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