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면, 결국에는 잘 분쇄되고 혼합된 시료를 알맞은 양만큼 얻을 수 있다.
- 출 처 : 두산백과사전 -
<참고2 - 잔골재의 입도표준>
잔골재용 표준체(KS A 5101) : 0.15, 0.3, 0.6, 1.2, 2.5, 5, 10mm
체의 치수에 따른 체를 통과하는 잔골재의 질량 백분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가름 시험결과를 곡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종축은 체를 통과하는 시료의 통과량 혹은 잔류량의 중량 백분율, 횡측은 체눈의 크기를 표시한 것이다. 골재의 입도곡선으로 점선의 부분을 표준입도곡선이라 하고 잔골재나 굵은골재가 표준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9.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은 골재라 할 수 있겠다.
이렇게 골재의 작은 입자와 굵은 입자가 적당히 혼합되어 있을 때 입자의 크기가 균일한 경우나 작은 입자가 많은 경우와 비교하여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이 소요의 품질의 콘크리트를 비교적 적은 단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9.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인데, 골재의 입경이 클수록 조립률은 커진다. 입도의 변동형태나 콘크리트 배합설계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사이가 좋은데 결과 값은 3.83으로 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가름 하였을 때는 다시 손으로 체가름하고 1분간에 각 체에 남는 시료가 1% 이하가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2) 잔골재에 있어서는 No.200(74μ)체를 통과하는 양을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씻기 시험방법(KS F 2511)에 의하여 정한다.
(3) 체가름할 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