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독당, 조선일보사, 1985
◈ 홍석률, 1971년의 선거와 민주화운동 세력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2012 Ⅰ. 통일운동세력
Ⅱ. 통일주류세력
Ⅲ. 남북한협상세력
1. 북한측
2. 남한측
1) 좌익
2) 중간
3) 우익
Ⅳ. 진보세력
Ⅴ. 민주화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을 제외하고는 제3의 다른 종류의 정당은 유지될 수 없었다. 설령 새로운 정치세력이 등장한 경우에도 빨갱이 또는 친북세력으로 정의하는 순간 쉽게 이들을 배제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티스 2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UN 동시 가입(1991.9)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남북한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1991.12)
● 김영삼 정부
[3단계{화해·협력, 남북연합, 통일국가}, 3기조{민주적 국민 합의, 공존·공영, 민족 복리}(1993)
→ 민족 공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1.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계
Ⅳ.양안 교류
1. 경제적 측면
2. 사회ㆍ문화적 측면
3. 군사ㆍ안보적 측면
4. 반관기구의 활동
Ⅴ. 양안관계 개선의 문제점
1. 통일에 대한 시각
2. 국제적인 지위에 대한 문제
3. 민주화에 대한 시각 차이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업근대화
①5.16 군사쿠데타와 박정희의 권력강화
②제3공화국
③제4공화국 : 유신체제
④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
19장새로운 국제질서와 민주주의 발전
20장.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형성과 변화
농업의 협동화 형태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