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목차
Ⅰ. 서론
Ⅱ. 15세기 한글문헌의 받침 ㄷ과 ㅅ
1. 15세기 ㄷ과 ㅅ의 표기방법과 그 예
2. \'ㄷ\'과\'ㅅ\' 표기 방법의 비경제성 도출과 그 예
3. 후음을 종성에서 배제한 원인
4. \'ㄷ,ㅅ\'을 중화현상으로 볼 수 없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성체계에서 \'ㅿ\'을 빼버렸음은 온당하지 못한 처사였다.
『훈민정음』의 규정대로 15세기 종성표기법을 팔종성법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 창제자는 종성 표기에 있어 두 가지 방법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성체계에서 \'ㅿ\'을 빼버렸음은 온당하지 못한 처사였다
『훈민정음』의 규정대로 15세기 종성표기법을 팔종성법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특징을 간단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 창제자는 종성 표기에 있어 두 가지 방법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가 아니라 실제 발음의 차이를 반영한 표기라고하여 ‘ㄷ’과 ‘ㅅ’이 실제 발음으로 구별되었음을 주장한다. 안병희, 『국어학』,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외, 2003, p. 8~16
훈민정음은 15세기의 국어이다. 따라서 현대 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에서 연철방식을 취했다.
ex)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용비어천가》등
16세기부터는 점차 분철의 영향력이 커져갔다. - 19세기까지 계속해서 이어짐.
현재 한글은 분철방식으로 표기한다.
16. 팔종성법 《국어학개설》, Page 246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