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과 관악합주인 보허자, 낙양춘,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본령, 해령 등에 편성되는데 어떠한 음악에서든지 편종과 편경은 반드시 함께 편성된다. 편경은 편종과 마찬가지로 악기의 특수성 때문에 쉽게 제작할 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앙대학교출판부, 1993 Ⅰ.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1. 금부(金部)
2. 석부(石部)
3. 사부(絲部)
4. 죽부(竹部)
5. 포부(匏部)
6. 토부(土部)
7. 혁부(革部)
8. 목부(木部)
Ⅱ. 국악기(전통악기)의 사부
1. 거문고
2. 가야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각임을 말씀드린다. 머리말
1. 과제선정의 이유
1) 민속의 정의
2) 한국의 민속악기
몸말
1. 관악기 1) 대금, 중금, 소금 2) 단소 3) 피리
2. 현악기 1) 가야금 2) 거문고 3) 아쟁 4) 해금 5) 양금
3. 타악기 1)사물 2) 북
맺음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에 가장 큰 북 “진고”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연주 사례
1. 산조의 음악적 바탕
2. 산조의 미학
3. 산조의 진보성과 변혁의지
4. 산조의 장단
5. 산조의 농현
6. 가야금산조
7. 거문고산조
8. 대금산조
9. 해금산조
10. 아쟁산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경, 특경<석부>
▶무율악기 - 자바라, 징, 소금(꽹가리)<금부>, 박, 축, 어<목부>, 부<토부>, 장구, 갈고, 진고, 절고, 좌고, 소고, 용고, 교방고, 노고, 노도, 뇌고, 뇌도, 영고, 영도, 건고, 삭고, 응고, 중고<혁부> Ⅰ.악전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