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말을 기준으로 하여 민족적 특성 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라는 것을 말하였고 김일성이 그의 1966년 교시에서 문화어란 용어 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서 그동안 한반도에 하나의 표준어만이 존재했던 것이 방언이 었던 평양말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라고 하여 평양말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명문화했다. 북한 국어사정위원회가 1987년 5월 15일 공포하고 1988년 사회과학출판사에서 책으로 발간한 \'조선말 규범집\'의 내용이다. 남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련되고 문화적으로 다듬어진 언어
4. 당과 수령동지의 주체적 언어사상으로 다듬어진 언어
5. 혁명의 붉은 수도 평양을 중심으로 한 평양말
이는 언어가 혁명과 계급투쟁의 도구, 개인우상화와 정치적 방편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단적으
북한어 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의의,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발달, 북한어(북한말, 북한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말을 공통어로 정하고, 이를 ‘문화어’라고 부르고 있다.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는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표준어와 문화어는 발음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표준어에서는 두음 법칙과 자음 동화를 인정하는 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말을 공통어로 정하고, 이를 ‘문화어’라고 부르고 있다.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는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표준어와 문화어는 발음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표준어에서는 두음 법칙과 자음 동화를 인정하는 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