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표준어 규정”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현실음의 낱말을 표준어로 삼았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들 예를 몇 개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간(間)>칸, 끄나블>끄나풀, 가을카리(秋耕)>가을갈이, 가리>갈비, 구젓> 굴젓, 수지(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준어  │ 비표준어  │ 비고   ├───────────────────────────────────   │ 끄나풀   │ 끄나풀   │   │ 나팔-꽃  │ 나팔-꽃  │   │ 녘     │ 녁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8.1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준어 규정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끄나풀/X끄나불, 나팔꽃/X나발꽃, 동녘/X동녁, 부엌/X부억, 들녘/X들녁, 칸막이/X간막이,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진져서 널리 쓰이는 것을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강낭콩/X강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3항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ex) 끄나풀→끄나풀, 삵괭이→살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그 차이가 워낙 현저하여 도저히 고형(古形)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것은 새 형태를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나팔꽃\'이나 \'끄나풀\' 등은 이 개정에 앞서 이미 일반화되었던 형태들이다. 이 점에서 이번의 표준어 개정은 이미 뿌리를 내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00원
  • 등록일 2012.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1 빈출 표준어 끄나풀강낭콩사글세돌셋째넷째오뚝이냄비 수꿩수놈수캉아지수퇘지숫양서울내기깍쟁이상추 멋쟁이담쟁이아지랑이미장이괴팍하다으레주책윗도리 윗니위쪽위층웃어른웃옷구절시구글귀 무꼭두각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300원
  • 발행일 2012.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