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격루
1434년(세종 16) 왕명으로 장영실·김조·이천 등이 제작하였다. 시(時)·경(更)·점(點)에 맞추어 종과 북·징을 쳐서 시각을 알렸으며, 경복궁경회루 남쪽 보루각에 있는 것은 4개의 파수호(播水壺)와 2개의 수수호(受水壺), 12개의 살대, 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씨를 엿보게 한다.
⑪청자상감모단당초문표형주자
고려청자 가운데는 조롱박 모양의 주자가 많다. 이 유형은 중국의 당, 송 자기에서도 볼 수 있지만 매병과 마찬가지로, 고려의 조롱박 모양 주자 역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벗어난 고려적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였다.
→ 거북선 : 왜구를 격퇴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된 돌격형 장갑선의 일종. 귀선이라고도 한다.《태종실록》에 보면 왕이 임진강에서 해전연습을 하는 거북선을 보았다는 기록과 거북선 전법이 결승의 양책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로 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