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명사의전개-자격루,혼천의,규표,간의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명사의전개-자격루,혼천의,규표,간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천상열차분야지도
간의
규표
혼천의
혼상
자격루

본문내용

8.6cm로 경북 경주시 민속공예촌의 신라역사과학관에 소장되어 있다.
앙부일구
1985년 8월 9일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다. 궁중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 1437년(세종 19) 처음으로 만들어져,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남가(南街)에 각각 석대를 쌓아 그 위에 설치하여 한국 최초의 공중시계 역할을 하다가 임진왜란 때 유실되어 없어지고, 2∼3세기 후에 만들어진 2개의 앙부일구가 남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
자격루
1434년(세종 16) 왕명으로 장영실·김조·이천 등이 제작하였다. 시(時)·경(更)·점(點)에 맞추어 종과 북·징을 쳐서 시각을 알렸으며, 경복궁경회루 남쪽 보루각에 있는 것은 4개의 파수호(播水壺)와 2개의 수수호(受水壺), 12개의 살대, 동력전달장치와 시보장치로 되어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03.2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