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다.
(46) 형: ‘밥 먹었어?’ (주어 ‘너’의 생략)
VI. 결론
이상으로 한국어2인칭대명사의 유형, 용법, 생략현상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난 예절 표현을 논술해 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는 유형이 많고 용법이 다양하며 사용할 때 생략현상이 있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와 몽골어의 언어 · 사고 특성 비교
2.1. 정서적 사고 방식
2.1.1. 색채어
2..1.2. 상징어
2.1.3. 완곡 어법과 금기어
2.1.4. 마무리
2.2. 집단적 사고 방식
2.2.1. 호칭어
2.2.2. 대명사
2.2.3. 마무리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는 시제가 있고, 규칙(불) 활용, 무한대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2. 서로 다른 품사
한국어 품사
수사
대명사와 함께 체언에 속하며 수를 나타낸다.
관형사
체언을 수식, 영어에는 없는 품사로서 한정적인 용법의 형용사와 유사
조사
무수
|
- 페이지 250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유는 접두사「お~」에 의해 겸양어를 파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인칭대명사 : ねたくし
겸양용언
① 한국어 : 일찍이 쓰여진 겸양접미사 「옵」이 쇠퇴했기 때문에, 겸양용언을 나타낼 수 있는 문법수단을 잃어버렸다. 단 자신의 행동이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自身’의 어형 대조
3.2. ‘자기’, ‘자신’과 ‘自己’, ‘自身’의 선행사 인칭 제약 대조
3.3. ‘자기’, ‘자신’과 ‘自己’, ‘自身’이 부사어와의 공기 대조
4. ‘자기’, ‘자신’에 대한 교육 방안 제시
5. 결론
6.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