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古代音韻學》, 서울:민음사.
*李基文, 金鎭宇, 李相億 공저(1984), 《國語音韻論》, 서울: 學硏社(1993년 2판). 1. 머리말
2. 전기 중고음
3. 후기 중고음
4. 근대음
5. 전기 중고음에서 현대 표준 한어음
6. 전망 및 맺음말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하경용(1984), 한어방언연구소사, 산서교육출판사
◇ 황경호(1987), 한어방언학, 하문대학출판사 Ⅰ. 서론
Ⅱ. 중국방언(중국어 방언)의 명칭과 정의
Ⅲ. 중국방언(중국어 방언)과 역외방언
Ⅳ.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병음으로 중고음은 광운또는 집운의 반절과 성조, 운, 자모
「辭源」4책- 고전문헌 연구 참고 사전, 1983년 수정판으로 나옴.
1915년 3책, 현대적 의미의 최초의 사전 고대 사전류와 체재, 내용면에서 현격한 차이.
표제자, 배열- 214부수로 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학습의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 한어와 한국어, 그리고 한어와 한국인이 구사하는 한어의 전면적인 대비를 통해 전이의 소재를 밝히는 것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어교학 연구에 매우 필요한 일이며, 아울러 실제 교학 진행상의 실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를 기다려 두기로 한다. 필자가 아는 한 화남(華南) 및 동남지방에 관해서는 상해방언, 광동방언 등으로 부르는 관습이 있다. 그것은 각도시의 방언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용적 명칭은 그대로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잊어서는 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