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조사 배경
2. 조사 방법
3. 조사 결과
4. 조사 결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독, '온'
E. 가논 곧 모딪온뎌 간 곳을 모르옴이여
A. 阿也彌陀刹良逢乎吾(아야미타찰량봉호오)
B. 아으 彌 刹애 맛보올 내 아, 미타찰에서 만날 것이니 내
阿:음독(아) 也:음독(야) 彌陀刹:한자어음독(미타찰) 良:(애) 逢:훈독(맛보) 乎:(올) 吾: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를 이용한 우리말 표기
① 고유명사 표기
1) 음독표기 (소리를 빌려 읽음): 古 [ko]
2) 훈독표기 (뜻을 빌려 읽음): 水 [물]
3) 혼합표기 (음독과 훈독을 번갈아 가며 표기): 大田 음독표기[대전] / 훈독표기[한밭]
② 서기체 표기 (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1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재 6장-10장에 있는 초등한자 중 300개를 선택해 해당 한자의 음독과 훈독을 모두 쓰고, 용례로 제시되어 있는 보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해당 단어의 후리가나와 뜻을 쓰시오.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100원
- 등록일 2020.06.16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독음방법의 차이
한국어나 일본어는 한자를 바탕으로 한 단어들이 많다. 우리말에서는 한자표기는 독음을 표기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하지만 일본어에서는 한자로 표기하였을 경우 훈독과 음독의 두가지 방법을 통해 발음할 수 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