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
2. 방언과 사투리, 그리고 표준어
3. 한국의 방언권
4. 경기도 방언
5. 강원도 방언
6. 충청도 방언
7. 전라도 방언
8. 경상도 방언
9. 제주도 방언
10. 황해도 방언
11. 평안도 방언
12. 함경도 방언
13. 사회방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갑시다.)
집이 1. 함경도 방언의 음운적 특징
2. 함경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함경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4. 함경도 방언의 실제 예시
5. 육진 방언의 음운적 특징
6. 육진 방언의 문법적 특징
7. 육진 방언의 어휘적 특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음장
함경도 대부분,경상도 전역
강원도의 영동 방언권
함경도 방언 말(馬)/ 言) 배(梨)/ 1. 방언이란
2. 방언학의 발달
3. 방언의 조사 방법
4. 방언구획과 언어지도
5. 방언의 전파
6. 방언의 가치
7. 국어사와 방언 연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구획은 학자에 따라 다소의 견해차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6개의 대방언권으로 나뉜다.
① 동북방언: 한국 북동부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함경남북도의 대부분의 지역을 포괄하 며, 함경도방언 또는 관북방언(關北方言)이라 불리기도 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단양방언권과 영동방언권의 어형이 일치하는 예가 많다.
=>남부방언, 특히 경상방언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이상규 ,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4
이상규 , 『국어방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