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경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흔히 함경남도의 영흥이남 지역(영흥고원문천안변)을 제외한, 함경남도 정평 이북의 함경도에서 말해지는 방언을 일컫는다. 학술적인 용어로는 흔히 동북 방언(東北方言)이라 한다.
함경도 방언권은 지리적으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라도 사투리(방언, 지역어) 사례, 평안도 사투리(방언, 지역어) 사례, 황해도 사투리(방언, 지역어) 사례, 함경도 사투리(방언, 지역어) 사례, 충청도와 경상도 사투리(방언, 지역어) 사례, 제주도와 강원도 사투리 사례 분석
Ⅰ. 전라도 사투리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 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1. 음운
2. 문법
3. 어휘
4. 육진방언
1) 육진의 의미와 특징
2) 음운론적 특성
3) 형태론적 특성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에서는 아직도 ‘ Ⅰ. 서론
Ⅱ.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정의
Ⅲ.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가치
Ⅳ.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연구
Ⅴ.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표준어
1. 음운의 차이
1) 음운 체계의 차이
2) 음운변동의 차이
2.
지역어 방언, 사투리 지역언어, 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사투리, 방언),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원, 1997.
이호영 외,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국립국어원, 2009.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8.
한정미 외, 『새터민들 언어 적응 지원을 위한 새터민 교사 연수 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