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진방언에서는 ‘-Vŋ(+)V-’ 환경에서 ‘Vŋ’는 비모음으로 실현되는데, 그 비모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전사문자 ‘’를 사용하였다.
2.1.5 활음과 그 약화음의 전사
활음 [y]는 주로 on-glide이며 off-glide는 [uy] 이중모음 전사에서만 보인다. 각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 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1. 음운
2. 문법
3. 어휘
4. 육진방언
1) 육진의 의미와 특징
2) 음운론적 특성
3) 형태론적 특성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갑시다.)
집이 1. 함경도 방언의 음운적 특징
2. 함경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함경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4. 함경도 방언의 실제 예시
5. 육진 방언의 음운적 특징
6. 육진 방언의 문법적 특징
7. 육진 방언의 어휘적 특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의 경기도에서는 형태소 내부에서만 이 현상을 볼 수 있을 뿐이다. 金完鎭(1975)의 지적처럼 南濃北稀의 양상을 띤다. 한편 일제시기에 조사된 북한지역의 방언 자료를 보면 함경방언과 육진방언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매우 왕성하게 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의 ‘ㅈ’의 이음 및 구개음화 현상의 有無는 다음과 같다(모음간의 이음 [dz]와 []는 제시하지 않는다).
방언권 ‘ㅈ’의 음성실현 구개음화
평안방언 /ts/([ts]) 없음
황해방언 /ts/([ts], []) h-, t
육진방언(20세기 초) /ts/([ts], []) h-
육진방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