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Liner
1. 항로
2. 선박의 기준
3. 법적 규제
4. 항만 및 선령
5. 선원 및 선적
정기선 및 부정기선의 개념
정기선
어떤 특정 항로를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선박 (즉, 정기 취항하는 선박)
주로 소량 화물 및 컨테이너 화물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로에서의 서비스를 확장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기선 서비스에 대서양 항로서비스를 추가로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해협-서호주항로 간에도 직항서비스를 시작했다. COSCO선사와의 계속적인 제휴로 중국의 항구들과 아시아-북미항로, 태평양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기선항로상의 간선에 위치하여 대형 선박들이 기항할 수
있는 부두시설을 갖추고 인접 소형항만과는 피더선으로 연결되는 항만하역시설 위주로 정의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지리적인 입지와 대규모 터미널 시설 외에 광대한 배후부지에 복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점도 동맹약화의 한 원인이 되었다.
2) 협의협정제도
최근, 주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서의 동맹선사와 비동맹선사 간에는 항로의 안정화 등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협의협정(discussion agreement)의 체결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부정기선의 개념 및 종류
부정기선
정해진 항로를 규칙적으로 운항하는 정기선과는 달리 일정한 항로나 화주가 있는것이 아니고 화물이 있을때마다 또는 화주의 요구가 있을 때만 화주와 용선계약을 체결하고 화물이나 항로에 따라 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