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포들은 임프절의 특정한 지역에 모여있는 데, follicle에는 항원을 인식하지 못한 resting B cell이 많이 존재하며, germinal center에는 T cell의 도움을 받아 항체를 생산하는 커다란 B cell들이 많이 있다. 충분히 분화한 plasma cell들은 임프절을 떠나 다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② 이차 또는 말초림프기관(secondary or peripheral lymphoid organ)
일차림프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실질적인 후천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장소
종류 - 퍼진림프조직(diffuse lymphatic tissue)
림프소절(lymphatic nodule)
림프절(lymph node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 자체가 항원을 직접 파괴하거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면역 반응의 조절은 주로 대식세포와 T세포에 의해 일어난다. T세포는 항원을 스스로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항원제공세포들을 통해 항원을 인지하는데, T 세포 표면에는 항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질을 가지나 그 크기나 성상은 다양한데 이러한 세포들이 IM에 특징적인 소견은 아니며 CMV나 toxoplasmosis 등의 여러 질환에서 유사한 세포가 관찰된다. IM에서 나타나는 비정형 림프구의 대부분은 CD8 항원을 가지는데 이는 EBV에 감염된 B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하여 조직 손상이 초래된다.
IV형 과민 반응은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 매개성 과민 반응으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Th 1 cell에 의해 대식 세포가 활성화되어 조직 손상이 오는 경우, Th 2 cell에 의해 호산구 등이 주로 작용하여 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