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사: 항일혁명문학에서 주체문학까지』, 평민사, 2002
와다 하루키 지음, 서동만, 남기정 옮김,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돌베개, 2002
박광호 지음, 『전통(傳統): 북한사회 이해의 열쇠』, 한국학술정보, 2004
연합통신 펴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 사설시조, 항일민요, 동학가사, 의병항쟁시, 우국시, 담시와 사조, 개화기문학, 항일문학 등이 그러한 민족문학의 주체적 흐름을 이루는 각 시기의 문예들로 거론되고 있다. 이처럼 민족문학론이 거듭 논의되는 이유는 세계의 문학에 대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버금가는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생애나 사고방식에서부터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친일문학과 항일문학의 중간노선을 택했다고 할 수 있다.
10.10.6. 여타 신소설의 작가와 작품
- 또 한 사람의 중요한 신소설 작가 최찬식은 한학자 최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 투쟁
2)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
3) 도식주의 비판의 시도와 좌절
나. 카프 전통에서 항일 혁명문학 전통으로
1) 천리마 운동과 ‘인민 형상화’를 주제로 한 문학
2) 항일혁명문학의 대두와 김일성 우상화
3) 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7.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사론, 새미, 1996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도서출판 깊은 샘, 2005
신형기·오성호, 북한문학사, 항일혁명문학~주체문학, 평민사, 2000
이성천, 추제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19집, 2006
윤동재,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