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사나 형용사 뒤에 쓰여 시작, 진행, 지속, 완료 등을 나타낸다. 이 때 경성으로 읽는다.
①大 唱起歌來.(시작)
②所有參加長 的人都堅持下來.(지속)
③從本字上 下來一張紙.(완료)
⑵가능을 나타내는 得와 불가능을 나타내는 不는 행동동사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는 주로 동사나 형용사 뒤에 쓰여 시작, 진행, 지속, 완료 등을 나타낸다. 이 때 경성으로 읽는다.
①大唱起歌。(시작)
②所有加的人都持下。(지속)
③本字上下一。(완료)
⑵가능을 나타내는 得와 불가능을 나타내는 不는 행동동사와 방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사의 과거시제는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는 점이다. 즉 ‘가졌다’는 ‘가지고 있다’에 대응되며, 따라서 ‘가지고 있던’은 ‘가졌던’이 된다. 단순히 과거진행 관형형에서 진행의 형식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이행동사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수행) 목표와 준거지향평가
행동(수행) 목표 기술의 의의: Robert Mager
행동(수행) 목표 기술의 방식
- 행동 동사: ‘이해한다’, ‘안다’(know, understand)를 세부적으로 기술(explain, solve, apply, analyze등의 용어를 쓴다.)
- 준거(criteria)와 조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적 결과
마지막으로 아이즈너는 표현적 결과를 중시한다. 표현적 결과란 결과보다 활동을 중시하는 목표유형의 하나로써 과거 전통적 교육에서 오로지 행동적으로 표현되는 결과만을 중시했다면 아이즈너는 결과가 아닌 학습자의 학습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7.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