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독(가) 內:음독() 如:음독(‘다’로읽음) 辭:훈독(말-말하다) 叱:음독(ㅅ) 都:음독(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모여운견거내니질고) 1. 향가의 표기와 그 원리
*향찰
*향찰의 원리
2. 제망매가 해석
*향찰 표기
(고대어/현대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셔의 모리는 뫼의 선행 형태, 보현십원가에서의 邀理를 마리, 뫼시리 등으로 읽던 것을 극복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귀중한 형태다.
Ⅲ.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1. 제망매가의 원문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兮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米(매)’로 ‘ Ⅰ. 향가 해독 방법론
Ⅱ. 해독이 어려운 한자 정리
(1) 향찰의 차자 방법
(2) 향가에서 해독이 어려운 한자
Ⅲ. 향가 해독의 실제
(1) 서동요(薯童謠)
(2) 원왕생가 (願往生歌)
(3) 제망매가 (祭亡妹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는 몇 몇 해 봄 빛을 헛되이 지냈으니 ! \"라 하였다.
레포트
삼국유사 향가14수
학과: 국어국문학과
학번: 20020045
이름: 서예린 제 목 : 안민가(安民歌)
제 목 : 제망매가(祭亡妹歌)
제 목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제 목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는 사람 있다!\'고 사뢰소서 / 아, 이 몸을 남겨 두고 / 사십팔대원을 이루실까
4. 제망매가
1) 삼국유사에 기록된 제망매가의 설화
제망매가는 월명사가 죽은 누이동생을 위해 재를 올리면서 지은 향가로 삼국유사 권 5 감통 제 7(感通第七)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