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찰표기법에 대한 기본 관점 …………………3
2) 작품분석 …………………………………………3
도솔가 …………………………………………4
모죽지랑가 ………………………………………6
안민가 ……………………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망매가
<양주동 해독>
生死路
예 이샤매 저히고
나 가다 말ㅅ도 향가 개관
작품해석
1) 제망매가 - 양주동 해석
- 현대어 해석
- 풀이 및 감상
2) 최초의 향가- 서동요
- 양주동 해석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독(가) 內:음독() 如:음독(‘다’로읽음) 辭:훈독(말-말하다) 叱:음독(ㅅ) 都:음독(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모여운견거내니질고) 1. 향가의 표기와 그 원리
*향찰
*향찰의 원리
2. 제망매가 해석
*향찰 표기
(고대어/현대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망매가(신라의 향가)의 시어와 시구 풀이
Ⅴ. 제망매가(신라의 향가)의 문학적 표현
참고문헌
Ⅰ. 개요
향가란 본래 중국의 노래에 대한 \'우리의 노래\'를 뜻하는 명칭으로, 보다 좁은 의미로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찰식 문자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망매가>를 새로이 해석해 보았다.
향가는 향찰로 되어져 있어 해독에 있어 많은 난점이 따르기 때문에 작자와 관련설화를 바탕으로 이해하여야만 그 성격을 제대로 규명해 낼 수가 있다. <제망매가>의 작자인 월명사는 스스로를 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