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78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1. 향악기
2. 당악기
3. 대성아악기
4. 고려전후기의 변화
5. 고려시대 향,당,아악기와 조선시대 악학궤범의 향,당,아악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기, 속부는 당악기와 향악기를 묶어 분류하였다.
① 금부(金部, 쇠붙이로 만든 악기) : 편종(編鐘) 특종(特鐘) 방향(方響) 징(鉦)
② 석부(石部, 돌을 깎아 만든 악기) : 편경(編磬) 특경(特磬)
③ 사부(絲部, 실을 꼬아 줄을 만든 후, 이 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하여 삼현으로 삼았기 때문에, 통일 신라의 향악은 실제적으로 한민족의 향악기를 모두 잘 전승하였다. 신라 현악기의 등장은 6세기의 가야국의 우륵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거문고가 삼국통일 직후에 신라사회에 수용되지 않고 중대 이후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악기당악기 고루 사용(玄琴, 伽耶琴, 鄕琵琶唐琵琶, 拍, 歌 등)
오례의종묘영녕전헌가(五禮儀宗廟永寧殿軒架) : 拍이 없으며, 향악기당악기 고루 사용(管, 歌, 大中小 등), 악공 연주
시용종묘영녕전등가(時用宗廟永寧殿登歌) : 拍, 歌, 鄕琵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악기, 당악기, 아악기의 혼합으로 연주되고 있지만 이는 세종이 당시의 향악과 고취악을 바탕으로 창제한 것이다. 처음에는 회례악무로 사용되었으나 세조 때 절차에 알맞게 고쳐 종묘제례악무로 채택하였다.
③ 정대업에는 음계의 이중
|
- 페이지 8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