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토축제의 역사
⑸ 맺는 말 001. 동해안의 해랑당
002. 서울의 동제당
003. 영남의 골맥이 동제당
004. 장승과 솟대
005. 제주도의 본향당
006. 조상단지와 조왕중발
007. 배서나오가 도깨비
008. 동해안의 별신굿
009. 제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앙 속에 함께 나타나는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교재 제9장 제10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jpg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인천 이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23487&cid=51927&categoryId=53665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해설 권농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3.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앙이라는 용어 이외에도 민속 신앙민속종교민중 신앙민중종교라 일컬어진다.
종전에는 고유 신앙토속종교향토 신앙이라 일컬어지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학문적인 합의 사항이 없기 때문에 민속 신앙민속 신앙민속종교라는 용어를 보편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앙과 한국문학』,손정희, 세종출판사
『숨겨진 우리의 옛이야기』,박용순, 박우사
『남도설화문학연구』,표인주, 민속원
『한국의 향토신앙』,장주근, 을유문화사
『거북의 비밀 중국인의 우주와 신화』,사라 알란, 예문서원 1.시작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앙의 변천과정』, 김제: 모악향토문화연구회, 1992.
홍범초, 『증산교개설』, 서울: 창문각, 1982.
소논문들
김홍철, “개항기의 민족종교운동사”, 『韓國民族宗敎運動史』, 서울: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
김홍철, “모악산하 민중종교운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