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사 대명사의 접미사 卓子, 石頭
-삽입되어있는 不, 沒, 一 看一看, 來沒來, 好不好, 對不起
-명사뒤의 일부 방위사 家里, 卓子上, 東邊
- 1. 성조(聲調)의 성립
2. 다른 언어속의 성조(聲調)
3. 성조(聲調)의 역할
4. 중국의 방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음운학자들이 20세기에 와서야 중고한어 음운에 대한 구체적인 음가를 재구할 수 있었는데 비해, 우리 조상들은 이미 15세기에 표의자인 한자에 표음문자인 훈민정음을 이용하여 음가를 표기하였던 참으로 뛰어난 음운학자들이라는 것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의 분류
B. 북경어와 지방 방언의 공통점 차이점
C. 중국 내 소수민족의 언어 간략하게 소개
IV. 한국어와의 비교
- 한국어와 비교 시 중국어의 장점과 단점
V. 중국어의 중요성 (결론 부분)
- 세상사적, 선교사적 입장에서 본 중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0.0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병음(漢語拼音)
1. 중국어의 발음 표기
2. 중국어의 성조(聲調)와 4성(四聲)
* 소리내는 법
중국서 유행하고 있는 '신조어'
중국의 외래어
1. 외래어의 구분
2. 특징
3. 한국어와 중국어의 외래어 비교
4. 중국인들의 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 어휘에 대한 敎學 4.고문헌에 대한 정리 5.어원 탐색 따위를 들 수 있다.
연구에 있어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으로는 1.방언, 2.문체, 3.소재, 4.작가의 풍격 및 언어관, 5.시기 구분 등이 있다. 이 다섯 가지 문제점은 상용어 변화 양상의 정확
|
- 페이지 8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