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고대 어느 자료에서도 『훈민정음』에서와 같은 음성학적 기술을 찾아 볼 수 없다. 한어음운학에서는 역사비교언어학 방법에 의해 현대한어방언의 상황 및 疑母가 牙音의 次濁音이라는 운도의 위치로 中古音 疑母를 설근비음 [ŋ]으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1982
이석재 / 국어 음절말음의 조음간극에 대한 제약과 중화현상, 언어 20권 4호, 한국언어학회, 1995
이병건 / 음운론 논문집, 한신문화사, 1986
허웅 / 국어음운학 개정판, 샘문화사, 1985 Ⅰ. 개요
Ⅱ. 음의 분류
1. 분절음(segment)/초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한자구성의 여섯 가지 중 지사(支社)방법과 상형원리를 합했던 것이고, 글씨체는 훈민정음 초기 때부터 전서체로 만들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석환, 『훈민정음 연구』, 한신문화사, 1997
강길운,『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원설
7. 창문 상형 기원설
8. 기일성문도 기원설
Ⅶ. 훈민정음(한글)과 신숙주
1. 음운학에 밝은 세종과 신숙주
2. 신숙주의 조선 한자음에 대한 판단
Ⅷ. 훈민정음(한글)과 세종대왕상
1. 수상대상
2. 내용
3. 수상사례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일조각, 1973
2. 이관규, 학교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1999
3. 이기문 등저, 국어음운론, 학연사, 1990
4. 김완진, 국어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82
5. 허웅, 국어음운학, 정음사, 1983 1. 서론
2. 본론
2.1 아래아의 소실
2.2 모음조화의 붕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