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에 주사시켜 한 면(Frame)의 화면을 만든다. 따라서 주사전자현미경에서는 주로 시료표면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시료 크기 및 준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다.
*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의 차이점
현재 이 두 종류의 전자현미경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 over {1.4 }`=`0.22㎛ & K(상수)=0.61,~~ NA=1.3~1.4, ~~ (빛의 파장) = 0.5㎛
가장 좋은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은 대략 0.22㎛ -눈의 분해능의 약 500배- 이다. 심지어 가장 좋은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에도 명확하게 한정된 한계가 있고 많은 중요한 세포로 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미경의 최고 배율은 2500배-3000배 이지만 실제로는 1500-2000배 이상에서 정교한 시료를 관찰할 경우 뚜렷한 상을 얻기 힘들다. 이는 광학현미경의 분해능 때문이다. 분해능이란 어느 한계선에 이르기 까지 두 개의 작은 물체가 여전히 분리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미경의 최고 관찰 가능배율이 2500배~3000배 정도이지만 실제로는 1500~2000배 이상에서 정교한 시료를 관찰할 경우 뚜렷한 상을 얻기 힘들다. 그 이유는 현미경의 분해능을 결정짓는 것은 렌즈의 배율보다는 렌즈의 개구수와 빛의 파장이 크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 - 40nm 정도의 두께가 적절하다. SEM
◆ 전자현미경의 분해능
※ SEM의 구성
※ SEM의 분해능(resolution)
◆ 분해능
◆ 수차(Aberations)
◆ 초점심도(Depth of field)
※ 전자현미경(SEM)의 분류
※ 전자빔과 시편과의 상호작용
※ 작동원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