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6), 세조시의 호패법시행,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Ⅰ. 개요
Ⅱ. 호패제(호패제도)의 기원
Ⅲ. 호패제(호패제도)의 의의
Ⅳ. 호패제(호패제도)의 시행
Ⅴ. 호패제(호패제도)와 호패법
Ⅵ. 호패제(호패제도)와 세금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패작성이 군병 등록의 선결 조건임을 강조하였다.
조정에서 호패법 실시의 결정은 일단 별다른 異論이 없는 듯 보였다. 광해군은 同王 1년(1609) 10월 비변사에 호패제 시행을 위한 事目을 준비하도록 하였고, 이듬해 3월에는 재차 사목을 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패
호패제도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행된 시기는 高麗 恭愍王때이고, 본격적인 시행은 조선왕조 太宗 13년(1413)이다. 호패의 기재 내용을 보면 관직이 있을 경우 관직명 주소지 등이고, 노비의 경우는 그의 주인 연령 거주지 얼굴빛 신장 수
|
- 페이지 60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패제(號牌制)라는 보완적 제도를 만들었고 《경국대전》으로 인보제가 오가작통제(五家作統制)로 개편되면서 체계화되었다. 호적제도 본래의 기능이 백성에게 역역·부세를 과하는 데 있었으므로, 백성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호적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호패법 시행
1) 호패법이란? 16세 이상 남자에게 호패를 가지게 하던 제도
태종 때 처음 시행
숙종 때 정착 됨
신분마다 다르게 제작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10.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