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류비(reflux ratio)
환류란 탑상제품(overhead product)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증류조작의 일부분이다. 이것은 단순히 탑상의 증기를 응축해서 액체의 일부를 탑 상부로 되돌려 보내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용되는 환류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reflux pump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reflux ratio를 0.8로 맞춰주도록 한다. top product에서 나온 것과 reflux pump에서 나온 것이 5 : 4(혹은 10 : 8)의 비율이 되는데 시간이 비슷하게 걸린다면, reflux ratio가 0.8이라는 뜻이다. 이것을 3번 정도 반복실험하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류비(reflux ratio)라 하여 R(=L/D)로 표시한다. 환류비를 크게 하면 제품의 순도는 높아지나 유출액량은 적어지며 또한 환류비를 적게 하면 유출액은 많으나 제품의 순도는 낮아진다.
3. 실험장치
단증류 실험장치 그림 3-1과 같다.
그림 3-1. 단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Reflux Ratio를 1.454의 약 1.2배인 1.75를 입력하면 모든 계산이 완료된다.
⑥ 이제 Preformance 창으로 들어가면 그림과 같은 값들을 얻을 수 있다. 최 소단수는 6.5, 실제단수는 환류비 1.75를 기준으로 16이며 최적 공급단 의 위치는 8로 계산된 것을 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henol, Aniline 등 여러 물질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 중 Chlorobenzene과 Aniline을 이용하여 \'1atm, 353.15K\'에서의 분별증류를 시도했다. 각각 Reflux Ratio, Number of Stage, Inlet Position을 바꿔가면서 원하는 99%의 수율을 맞춰보려 했다. Chlorobenzene의 경우에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