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펌프에 의해 세포 내로 들어온 Na+은 다시 세포 외로, 세포 외로 나간 K+은 다시 세초 내부로 이동하여 안정시로 돌아가고, 안정막전위 상태로 되돌아간다.
Report
- 활동전위의 발생기작 -
과 목 명 : 인체생리학
담당교수 : 하종식 교수님
학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6.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작이라 하며 동작이 반복될수록 근육원섬유마디의 길이는 짧아진다. 이와 같이 근육수축이란 미오신필라멘트가 액틴필라멘트를 밧줄을 당기듯이 근육원섬유마디 중심쪽으로 당겨 미끄러지듯이 필라멘트가 중첩되기 때문에 근육수축기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DA의 저장과 방출 기작은 앞에서 설명한 NE의 기작과 유사하다. DA는 두 가지 종류의 수용체에 작용하는데 두 가지 모두 아델린 고리화효소-cAMP 2차 전령계와 연관되어 있다. D1-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성과 파괴
1.5. 근 수축 조절에서 Ca2+의 기능
1.6. Ca2+의 기능과 연관된 근 부속 단백질
1.7. 근육수축의 에너지
2. 심장근 및 평활근 세포
2.1. 심장근(Cardiac Muscle)
2.2. 평활근(Smooth Muscle)
2.2.1. 평활근의 구조
2.2.2. 평활근의 수축 기작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천천히 유도하고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하여 특수하게 진화된 구조라고 생각된다. 평활근은 같은 힘을 발생하면서도 골격근에 비해 약 1/5에서 1/10정도 적은 ATP를 소모하면서 지연적 수축을 유지할 수 있다. 1.골격근
2.심장근
3.내장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