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전원통반경이 0.0150m일 때가 0.0200m일 때보다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0.0200m일 때와 0.0250m일 때는 차이를 거의 발견할 수 없지만 0.0150m일 때와 0.0200m일 때를 보자면 회전원통반경을 크게 하는 것 또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전원통반경=0.0250(m) , 추의 질량=0.0846(kg) 일정
회전원통반경
r (m)
관성모멘트
I (kgm2)
질 량
m (kg)
각가속도
실험값
각가속도 이론값
오차
(%)
메인+보조
0.0250
0.0147
0.0846
1.24
1.41
11.6
메인+강철링
0.0250
0.0105
0.0846
1.75
1.97
10.7
메인+막대
0.025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전원통의 회전반경을 2.0cm, 2.5cm로 변경해 가며 ⑦~⑩까지 반복한다.
⑫ 실험적으로 구한 원판의 각가속도와 실험장치에 주어져 있는 관성모멘트와 반지름, 추와 추걸이의 전체질량, 중력가속도를 사용해 이론적으로 계산한 각가속도를 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전판이 정확히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게 눈에 보이는 오차요인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추의 가속도가 작게 나왔을 것이다. 또한 보이지 않는 오차요인으로는 추나 추걸이, 원반의 잘량이나 도르래나 측정하고자하는 원반이나 링의 반경및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전축의 반경이 작아지면 대체로 회전 관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회전 반경이 작아지면 질량이 회전축에 대해 더 가깝게 모여 있기 때문이다.
질량이 물체의 병진 운동에서의 관성의 척도인 것처럼 관성모멘트는 고정 축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