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집.
최용수(1993),『고려가요 연구』, 계명문화사. Ⅰ. 서론
Ⅱ. 가시리에 나타난 여음.후렴의 양상
Ⅱ-1. 나
Ⅱ-2. 위
Ⅱ-3. 증즐가
Ⅱ-4. 대평성대
Ⅱ-5.「가시리」후렴구의 의미
Ⅲ. 결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3. 노미원, 「1910년대 유행한 잡가의 한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5
4.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5. 하희정, 「잡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5.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연구, 고려원, 1986
전병욱,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Ⅰ. 머리말
Ⅱ. 원문 해독 및 어석 연구
Ⅲ. 否定에 否定을 통한 肯定의 美學
Ⅳ. <정석가>의 민요적 성향과 송도가로서의 전이 양상
1. 민요적 성향
2. 송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 속 향가에서 고려가요, 악장과 시조 및 가사등으로 이어지는 유구한 경로의 우리시대의 노래 속에서 과거의 여운을 찾아내고, 과거의 노래 속에서 미래를 향한 끊임없는 변화가 지속되어야 한다.
6.느낀점
우리나라 한국문학의 전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연구』, 형설출판사, 1981.
김문기, 「한국 고전시가의 사적 전개」.
김학성,『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출판부, 1980.
김학성,「경기체가」,『한국문학연구입문』(황패강 외 3인 편), 지식산업사, 1982.
김흥규,「장르론의 전망과 경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