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을 훈맹정음이라 하기로 하였다.
1926년 11월 4일 원효로 1가 87번지 원정당에서 코엔 선교사, 원한경 박사 부부 및 동인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훈맹정음 반포식을 갖게 되었다. Ⅰ. 홀여사와 조선훈맹점자
Ⅱ. 3-2점자
Ⅲ. 훈맹정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5.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맹정음
박두성은 1888년 3월 16일 경기도 강화군 교동도에서 태어나 1899년 강화도 보창 학교를 거쳐 한성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어의동 보통학교 교사로 취임했다. 1913년 제생원 교사로 임명되어 맹교육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당시 평양에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38년 원산 맹학교
함흥 맹학교
경남 맹학교 설립 (1) 역사적 개관
(2) 홀여사와 맹교육
(3) 일제시대의 맹교육
(4) 해방이후의 맹교육
(5) 통합교육의 시도
(6) 저시력 아동의 교육
(7) 박두성과 훈맹정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맹정음이라했고 이것은 여러차례 수정보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다감각법 多感覺法 TVA method :
1. 메인스트림교육 統合敎育, mainstream education, mainstreaming :
1. 아베롱의 야생아 The wild boy of Aveyrom :
1. 애착 愛着 attachment :
1.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사였던 박두성 선생이 시각장애인들로 조선어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한글 점자를 연구, 1926년 완성, 마침내 그해 11월 4일 ‘훈맹정음’으로서 한글 점자를 발표했다.
점자정보단말기 : 시각장애인들이 점자와 음성을 통해 문서의 출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