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강길운, 훈민정음과 음운체계, 한국문화사, 2005 Ⅰ. 서 론
Ⅱ.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해
Ⅲ. 훈민정음에 대하여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친제설과 비친제설
강신항(姜信沆), 1963. 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 국어국문학 26.
김민수(金敏洙), 1964. 신국어학사. I. 序
Ⅱ. 本
1. 훈민정음 비친제(어제御製)설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
2. 훈민정음 친제설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친제설과 비친제설, 중국조선어문 1997년 제6호.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친제임을 주장한 논문의 내용과 근거 서술
2.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명분상의 어제임을 주장한 논문의 내용과 근거 서술
Ⅲ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는 정치 소리에 쓰니 어금니와 혀와 입술과 목소리에의 글자(소리)는 중국 소리와 통해 쓴다.
[참고자료]
* 고영근, 남기심 공편, <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 1. 훈민정음과 훈민정음 언해본
2. 원문 해석
1) 서문
2) 자음
3) 모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7.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들어가며 Ⅱ. 훈민정음 세종 친제(親製)론 Ⅲ. 훈민정음 세종 어제(御製)론 Ⅳ. 나오며 참고문헌 ---------------------------- 1. 세종의 어제 훈민정음 2. 한글의 탄생배경과 훈민정음의 창제 3. 훈민정음 세종친제론 4.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0.09.2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