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4건

 Ⅰ. 문자의 역사 Ⅱ. 차자표기(借字表記)의 원리와 종류 2. 1 차자표기의 원리 2. 1. 1 음차(音借) 2. 1. 2 훈차(訓借) 2. 2 서기문식(誓記文式) 표기 2. 3 이두(吏讀) 표기법 2. 3. 1 이두 표기의 사회성 2. 4 향찰(鄕札) 표기 2. 5 구결 2. 5. 1 구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차례 - 1. 요약 2. 차자표기 3. 음차와 훈차 4. 이두 5. 향찰 6. 구결 7. 향찰, 이두,구결의 차이점 8. 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의 내용 9. 견해 및 감상 10. 참고문헌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⑩ 오다 셜힝 해라(김완진) 5.2.1 來如 오다 <前出> 5.2.2 哀反 (1) 哀(訓) 셤- 소창진평 이래로 거의 훈독에 따르고 있으나 정렬모만이 특이하게 훈차를 취했다. 정렬모는 '哀'의 音을 '잎'로 가정하고 '애'를 나타내는 것이라 했다. 그러나 분
  • 페이지 4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차 '아'이다. 그래서 治良羅는 '다싶라'라고 읽으며 뜻은 '다스려' 정도가 될 것이다. 6) 此地 捨遺只於冬是去於丁爲尸知 此地를 훈독하여 '이힝'로 읽었고 은 위에서와 같이 '흘'로 음독하였다. 捨는 훈독하여 '빛리-'이며 遺는 음차하여 '고'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염두에 두고 있으나, 우선 ‘뎌-’와 ‘져-’의 음이 다르고 훈차로 쓴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이-’의 경우는 ‘爾’의 음을 살렸다는 이점이 있으나, 왜 의주음조로 운용의 경제성을 살리지 않았느냐 하는 문제를 포함한다. ‘處’는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