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압기를 승압 변압기라고 하고 반대로 인 경우, 의 부등식이 성립하는데 이를 만족하는 변압기를 강압변압기라고 한다.
[그림 2]에서 스위치를 닫아 2차 코일을 부하저항에 연결해 보도록 하자. 이때 에너지는 발전기에서 전송되기 시작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9.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압기 결선인가, 강압변압기 결선인 가?
[7] 연구 고찰 사항
(1) 표준 변압기로서 정격 출력이 60[KVA]에서 1차측 전압이 600[V]일 때 2차측 전 압이 120[V] (강압 변압기로 활용할 때)가 된다.
(a) 각 권선의 정격 전류는 얼마가?
(b) 만일 1차 권선에 600[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해 매우 작으므로 철심이 있을 경우 자속이 새어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철심을 빼내면 내부코일에서 공기 중으로 흩어지는 자속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피드백 효과가 없어져서 유도되는 2차 전압이 변화한다.
A6) 승압기와 강압기의 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압기가 되고 N이 1보다 작으면 강압변압기가 된다. 또한 N=1인 변압기를 절연 변압기라 하는데 두 회로를 서로 절연시키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한다. 주목할 것은 1차 측이나 2차 측이나 그 전력은 어느 경우나 같다는 것이다.
transformer에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1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1차 측 피상 전력과 2차 측 피상 전력을 계산한다.
(a) E1 x I1 = 60 × 0.39 = 23.4 [VA]p
E2 x I2 = 121 ×0.21= 25.41 [VA]s
(b) 실험 방법 (13)의 (a) 계산 값은 거의 같은가? 거의 같다
(c) 실험 방법 (8)에서 (11)의 과정은 승압 변압기 결선인가, 강압 변압기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