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개모음
└────────────────────────────────────────────
2) 선정 논문
선행 연구의 세 가지 문법범주에서 하나씩, 세 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목정수, (), 기능동사‘이다’구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9.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용언 어간과 어미 결합에서의 모음조화는 후행 어미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모음조화에 관여하는 어미를 매개모음 ‘/으’의 짝을 가지는 어미, ‘-아/어’계 어미, ‘-오/우’계 어미로 나누어 각각의 시현 양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용언 어간과 어미 결합에서의 모음조화는 후행 어미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모음조화에 관여하는 어미를 매개모음 ‘/으’의 짝을 가지는 어미, ‘-아/어’계 어미, ‘-오/우’계 어미로 나누어 각각의 시현 양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매개모음이라고 보고, 따라서 \'-으-\'는 형태소 자격을 갖지 못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관규(2002)에 따르면 매개모음이란 \"자음과 자음이 충돌할 때 소리를 고루는 기능을 하는 무의미한 고룸소리\"이다. \'-으-\'는 발음의 편의를 위해 삽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매개모음에 의하여 \'-(잎/으)리-\'로 교체된다.
■■ 열반 득호밑 나 까게 힝리라(1), 듸던 이 까팅니 이시리힝고(5)
④ 부정칭
선어말어미 \'-니-\'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말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 어미는 동작이나 상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